티스토리 뷰

반응형

매슬로우의 인간욕구의 위계

매슬로우는 다섯 가지의 인간욕구의 위계를 제시하였다. 첫째, 생리적 욕구는 음식, 물, 공기, 수면에 대한 욕구와 성욕으로써, 이들 욕구의 충족은 우리의 생존을 위해서 필요불가결한 것이다. 생리적 욕구들이 줄곧 만족되지 못하면 보다 높은 욕구의 단계로 나아갈 수 없다. 둘째, 안전의 욕구이다. 안전의 욕구에는 안전, 안정, 보호, 질서 및 불안과 공포로부터의 해방등과 같은 욕구가 포함된다. 부모 간의 갈등, 별거, 이혼, 죽음 등은 가정환경을 불안정하게 만들기 때문에 아동의 심리적 안녕에 해가 된다. 예를 들어 은행에 돈을 저축하고 보험에 가입하며, 안정된 직장을 얻는 것 등이 안전의 욕구에 해당된다. 셋째, 애정과 소속의 욕구이다. 특정한 사람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어떤 집단에 소속되고자 하는 욕망으로 표현된다. 단체나 클럽에 가입하여 소속감을 느끼기도 하고, 특정한 사람과 친밀한 관계를 가짐으로써 애정의 욕구를 만족시키려고 한다. 이러한 관계에서는 사랑을 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랑을 주는 것 역시 중요하다. 사랑의 욕구가 충족되면 다른 사람과 원만한 관계를 갖게 되는데, 친구 및 배우자와 가깝고 의미 있는 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안타깝게도 현대 사회의 특징으로 인해 이 욕구의 만족이 저해되고 있다. 애정과 소속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면 소외감과 외로움을 느끼게 된다. 넷째, 자아존중감의 욕구이다. 자아존중감의 욕구는 기술을 습득하고, 맡은 일을 훌륭하게 해내고 작은 성취나 칭찬 및 성공을 통해서, 그리고 다른 사람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들음으로써 충족된다. 자아존중감에는 다른 사람이 자기를 존중해 주기 때문에 갖게 되는 자아존중감과 스스로 자기를 높게 생각하는 자아존중감이 있다. 다른 사람이 존중해 주기 때문에 갖게 되는 자아존중감은 명성, 존중, 지위, 평판, 위신, 사회적인 성과 등에 기초를 두는데, 이것은 쉽게 사라질 수도 있다. 스스로 자기를 높게 생각하는 자아존중감을 지닌 사람은 내적으로 자신이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므로 자신에 대해 안정감과 자신감이 생긴다. 자아존중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면 열등감, 좌절감, 무력감 자기 비하 등의 부정적 자기 지각을 초래하게 된다. 다섯째, 자아실현의 욕구이다. 자아실현의 욕구는 인간욕구의 위계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하위는 모든 욕구를 충족시킨 사람들이 이 범주에 속하는데, 그들은 자신의 능력과 재능을 최대한 활용하는 성숙하고 건강한 사람들이다. 인간은 누구나 다 자아실현의 욕구를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욕구를 실현시키지 못한다고 한다.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기법

인간은 자기 이해에 대한 놀라울 정도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이 잠재력은 일상생활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지만 적절한 심리적 환경이 조성되면 나타난다.  로저는 인간중심 상담기법에서 세 가지를 말하였다. 먼저 '진실성'이다. 상담자가 내담자와의 상담관계에서 순간 경험하는 자신의 감정이나 태도를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인정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솔직하게 표현하는 태도를 지녀야 한다. 상담자의 진실한 태도는 내담자와의 탐색의 과정을 겪지 않고 순수한 인간적 만남을 가능하게 하고 내담자의 개방적인 자기 탐색을 촉진하고 격려하게 한다.  다음은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이다. 상담자가 내담자를 평가하거나 판단하지 않고 내담자가 나타내는 어떤 감정이나 그 밖의 행동특성 들을 그대로 수용하며 그를 소중히 여기고 존중하는 태도이다. 로저스는 내담자가 어떤 상태에 놓여 있는 존재이든지 그를 향해 무조건적으로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를 보여주면, 치료적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더 커진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정확한 공감적 이해'이다. 상담자가 내담자와 상호작용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내담자의 경험들과 감정들, 그리고 그러한 경험과 감정들이 상담의 과정 순간순간에 내담자에게 주는 의미를 민감하고 정확하게 이해하려는 노력을 말한다. 정확한 공감적 이해는 내담자로 하여금 있는 그대로의 자신에게 보다 더 가깝게 접근해  갈 수 있도록 격려하고, 보다 깊이 있게, 그리고 강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도와서 내담자 자신 내에 존재하는 자아와 유기체적 경험 간의 불일치성을 인지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