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교육목적 및 방법

로크는 '신사양성'을 교육의 목적이라고 하였다.  '신사'의 조건으로는 덕성, 실천적 지식, 예의, 학예를 말하였는데 첫째, 덕성은 신을 믿고 진리를 말하며 사랑과 친절로서 사람을 대해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둘째, 실천적 지식은 착한 성질과 마음, 경험을 조화시킨 산물로써 생활을 유능하게 하기 위하여 아이들이 도달해야 할 덕목으로 보았다. 셋째, 예의는 타인에게 폐를 끼치지 않는 마음자세와 자기 기질을 유쾌하고 수용될 수 있는 방법으로 표현하는 것이 요구되는 것으로써, 타인에 대응하는 언어와 행동의 습관을 생활화해야 하는 것이다. 넷째, 학예는 지육 그 자체만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은 잘못된 것으로 보고 지육은 덕을 쌓고 사색을 깊게 하는 데 필요한 수단으로 보았다. 또한 로크는 환경을 매우 중요하게 여겨 인물은 인물에 의해 양성된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사회적 인간관계를 통한 교육을 중시한 '사회적 실학주의 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로크는 수치심을 이용하여 어린이가 나쁜 행동을 하였을 때 당장 그 행동을 질책하기보다는 어린이로 하여금 스스로 그 행동이 나쁜 행동이었다는 것을 마음속에 뉘우치도록 하여 수치심으로 교화하도록 하였다. 

교육내용

로크는 교육내용으로 체육론, 덕육론, 지육론, 심의론의 4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체육론에서는 '건전한 신체에 건전한 정신'이라고 하여 로크는 건강한 신체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건강교육을 중요한 교육내용으로 생각하였다. 둘째, 덕육론은 지육의 선행조건으로써 덕육을 중요시하였는데 덕육의 목적은 자신의 욕망을 억제하고 이성에 따라 행동하도록 하는 데 있다고 하였으며, 의지의 도야에 중점을 두어 정욕을 억제하고 아동에게 자연으로부터 주어진 도리에 합치되는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고 보았다. 셋째, 지육론에서는 로크는 지육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교육은 지양되어야 한다고 하였으며, 지식은 오로지 덕을 쌓고 사색을 깊게 하는데 필요한 수단이어야 한다고 하였다. 넷째, 심의론에서는 아동의 마음은 출생 시 백지와 같다는 것을 믿으며 아무것도 쓰여 있지 않고, 어떠한 생각도 들어 있지 않는 백지에 글자가 쓰이고 생각이 들어가게 되는 것은 바로 경험부터이며 모든 경험은 감각에서 온다고 하였다. 로크의 저서인 <인간오성론>에서는 모든 지식은 감각경험의 사실관찰로부터 나온다는 이론을 제시하였으며 학습은 감각을 통해서 얻어지는 인상이라고 서술하였다.

 

교수론

로크는 유아의 능동성을 강조하였는데 유아를 교육할 때에는 질책하거나 체벌하지 말고 칭찬과 명예심에 호소하는 지도 방법을 주장하였다. 또한 로크는 유아기에 가장 유연하게 흡수하므로 올바른 습관과 철저한 훈육을 중시하는 습관형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로크는 <인간오성론>에서 인간은 상상 이상으로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태어나며, 이 능력은 반복적으로 연습을 통해 발휘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로크는 인간은 '정신적인 근육'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추론과 기억력 등의 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고 하며 인간의 능력을 능력 심리학저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로크는 백지설을 주장하였는데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어떠한 본유 관념도 가지고 태어나지 않았고 다만, 태어난 이후의 경험 하나하나가 인간 형성의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라고 하며 어렸을 때부터의 교육이 필수적인데 모든 경험은 감각을 통한 관찰에서 오므로 감각교육이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로크는 인식의 방법으로 외적경험과 내적경험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외적경험은 인식기관에 의한 감각적 경험을 말하며, 내적경험은 반성적 사고와 같은 정신작용 즉 성찰을 말한다. 

저서

로크의 저서로는 인간오성론과 교육에 관한 고찰이 있다. 인간오성론에서는 모든 지식은 감각경험을 통한 사실관찰로부터 나온다는 이론을 제시하였으며 그는 출생 때의 인간의 상태는 비어 있는 판자와 같다고 가정하면서, 학습은 그 이후로 감각을 통해서 얻어지는 인상이라고 서술하였다. 또한 교육에 관한 고찰에서는 어린이의 경험 하나하나는 그의 인간 형성의 중요한 요소가 되며 그 때문에 유아기 교육의 중요성이 특히 강조된다고 서술하였다. 

반응형